[2018 / 03 / 25 / 015]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소공녀'를 보고 왔습니다. 영문제목은 'microhabitat'. 네이버에서 검색하면 '미소생물이 서식하는 특유의 다양한 환경 조건을 갖춘 장소'라고 나옵니다. 무슨 얘긴지는 모르겠지만 여튼 다양한 환경을 갖춘 장소가 중요한 포인트라는 것이겠죠. 그리고 영화를 보면 왜 제목이 '소공녀'와 'microhabitat'로 작명되었는지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주인공 이름은 '미소'입니다. 정말 노리고 만든 제목이라는 생각 밖에 들지 않죠. microhabitat가 미소생물이 서식하는 장소라는 뜻인데 주인공 이름이 미소입니다. 즉, 이 영화는 그냥 제목과 주인공의 이름에서 이 영화가 어떤 영화인지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죠. 그리고 사실 ..
[2018 / 03 / 17 / 014]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쓰리 빌보드'를 보고 왔습니다. 이로서 올해 오스카 시상식에서 주목 받았던 작품을 2/3정도 감상을 하지 않았나 생각되는군요. '더 포스트' '플로리다 프로젝트' '팬텀 스레드'에 이어 감상한 '쓰리 빌보드'는 가장 묵직한 분위기로 관객들을 사로잡은 작품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어디서 누가 어떤 사건을 일으킬지 모르는 압박감이 대단했던 작품이었죠. 이야기만 보면 복수극이 생각날 법도 합니다. 하지만 영화는 그렇게 단순한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죠. 끔찍한 사건으로 딸을 잃은 주인공이 경찰에 항의하는 듯이 새긴 세 개의 광고판으로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은 니콜 키드먼 주연의 '도그빌'이 생각나기도 합니다. 다른 한 편으로는 코엔 형제의 '파고'..
[2018 / 03 / 11 / 013]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폴 토마스 앤더슨(PTA) 감독의 신작 '팬텀 스레드'를 보고 왔습니다. 개인적으로 PTA 감독의 작품을 좋아하기는 하는데 그의 영화는 영화의 완성도나 재미와 별개로 너무 불친절한 것을 단점으로 생각하는 편이라 쉽게 손이 가지 않는 편입니다. 하지만 이번 작품은 다니엘 데이 루이스라는 명배우의 은퇴작이기도 해서 과감히 극장으로 달려갔죠. 그런데 이 영화는 PTA 감독 작품 중에서는 가장 친절하며 가장 대중적인 작품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어렵지 않은 작품이었습니다. 놀랬죠. 이 정도로 작품의 완성도를 유지하면서 정적인 이야기 속에서 격정적인 감정을 이끌어 낸다는 것이 놀라웠습니다. 정말 이 감독은 안 만드는 것이지 못 만다는 것..
[2018 / 03 / 10 / 012]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션 베이커 감독의 신작 '플로리다 프로젝트'를 보고 왔습니다. 션 베이커 감독의 작품은 이번에 처음 감상을 하게 되었는데 이 작품을 통해서 앞으로 찾아보게 되는 감독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 만큼 이번 작품에서 보여주는 감독의 성향이 강렬했습니다. 다른 한 편으로 생각하면 통수를 맞은 듯한 느낌도 들었다고 할까요? 어느 정도 영화에 대한 정보는 알고 감상을 하기는 했습니다만 이 영화는 과거 기예르모 델 토로의 '판의 미로'가 생각날 만큼 영화의 홍보 내용과 실제 영화가 들려주는 이야기의 갭이 상상을 초월했습니다. 그래서 이 영화를 보고 나서 든 생각은 이 영화를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직장을 생활을 하고 본인 소유의 집..
[2018 / 03 / 02 / 011] 징검다리 연휴에서 끼인 금요일을 쉬는 덕분에 왠지 차주가 되면 보기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던 '더 포스트'를 보고 왔습니다. 개봉 첫 주인데도 불구하고 상영관이 정말 별로 없더군요. 저희 동네 근처 cgv와 메가박스에서도 딱 한 개 상영관에서만 상영을 하길래 평일이기도 하고 해서 조조로 보고 왔습니다. 이 영화는 감독이 개봉시기를 위해서 정말 최대한 촬영을 빨리 끝낸 작품인데 현 시국에 개봉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3개월이라는 짧은 기간만에 촬영을 종료하고 편집을 거쳐 개봉을 하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이 작품은 조만간 개봉 중인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또 다른 작품 '레디 플레이어 원'이라는 작품과 동시에 촬영을 하기도 했다더군요. ..
[2018 / 03 / 01 / 010]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김태리 배우의 신작 '리틀 포레스트'를 보고 왔습니다. 우생순 1편과 와이키키 브라더스 그리고 제보자의 감독이었던 임순례 감독의 신작이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임순례 감독의 대표작들은 재미없게 본 작품이 거의 없어서 이번에도 리메이크이기는 하지만 꽤 기대되는 작품이었습니다. 예고편에서의 느낌도 나쁘지 않았구요. 그리고 김태리, 류준열, 진기주 세 배우의 연기가 꽤 기대가 되기도 했구요. 원작 영화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원작 영화는 굉장히 정적입니다. 4계절 풍경을 이용한 미쟝센과 요리 그 자체의 과정을 보여주는데 영화의 대부분을 소비하고 있죠. 대사조차도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다큐멘터리라는 생각조차 들 정도죠. 그..
[2018 / 02 / 24 / 009]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08년에 개봉했으니 벌써 10년 전에 개봉했던 클로버필드는 모든 것이 비밀에 감춰졌었던 영화였습니다. 예고편에서부터 개봉 후 영화 내용까지 이 영화가 제대로 모든 것을 보여준 것이 없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신비주의의 극대화를 이룩한 작품이었죠. 감독이 감독이었던 만큼 떡밥도 장난 아니었고 1인칭 헬드헬드 카메라 기법을 이용하여 여러모로 수작이라는 평이 많았던 작품이었습니다. 8년 뒤에 개봉한 클로버필드 10번지는 완전히 스타일을 달리하여 폐쇄된 공간에서의 긴장감을 잘 표현했었는데 이 영화도 사실 마지막의 엔딩만 아니었더라면 전체적인 평가가 더 좋았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드는 작품이었습니다. 신비주의를 너무 과감히 벗어버렸죠...
[2018 / 02 / 25 / 008]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오랜만에 길예르모 델 토로의 신작을 보고 왔습니다. 거의 퍼시픽 림 이후로 처음 보게 되는 신작이 아닌가 싶은데 이 감독의 작품은 개인적인 호불호가 워낙에 강해서 감상을 하게 될 때마다 묘하게 신중해 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판의 미로가 수작이었고 퍼시픽 림은 졸작이었거든요. 헬보이도 그냥 무난한 히어로 영화였구요. 이번 작품은 아무래도 해외 평가가 끼친 영향이 꽤나 크다고 볼 수 있는데 그도 그럴 것이 워낙에 유명 매거진에서의 평가가 고득점이었던 데다가 주요 상도 몇개 시상을 했죠. 그래서 예고편에서의 느낌이 좋았어도 볼까 말까 갈등을 하고 있던 차에 그냥 냅다 결제를 하게 되었습니다. 재미가 있든 없든 일단 보자고 말..
[2018 / 02 / 24 / 007]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고편에서는 그다지 큰 인상을 받지 못 했다가 누미 라파스가 1인 7역을 했다는 얘기를 듣고는 일단은 보자는 심정으로 극장에서 본 '월요일이 사라졌다'는 sf 영화로서의 매력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 작품이 아니었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확실히 느껴지지 않는 작품이었어요. 일단 독창성이 없습니다. 인구제한, 디스토피아적인 미래, 정부의 개인 사찰 등등 이 영화의 설정이 다른 sf 영화들에서 보지 못 했던 특이점이 있었는가? 라고 생각해 본다면 암담합니다. 이 영화의 특유의 설정도 특유의 분위기도 없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이 가장 큰 문제점은 아니죠. 클리셰 덩어리라고 해도 그것을 잘 이용해서 보여..
[2018 / 02 / 18 / 006]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4년에 개봉한 '패딩턴'은 나름 무난한 영화였습니다. 말하는 곰돌이라니....이미 여기서 어느 정도 이야기는 끝난 것이나 다름이 없었죠. 하지만 개인적으로 재밌는 추천 영화이냐? 라고 한다면 그렇지는 않습니다. 패딩턴이라는 캐릭터는 그 때나 지금이나 하위 호환 버전의 둘리라는 생각이 들거든요. 어느 정도 민폐 캐릭터라는 얘기죠. 여튼 그런 캐릭터를 가지고 영화는 꽤 성공을 했는데 4년만에 2편을 가지고 돌아왔습니다. 전편에서는 니콜 키드먼이 악당을 맡았는데 이번에는 휴 그랜트가 악당을 맡았죠. 나름 연기파 배우들이 악당을 연기한다는 것은 좋은 일이었습니다. 악당이 연기를 못하면 영화는 더 매력이 없거든요. 그리고 나머지 인물들..